본문 바로가기
각종 여행관련 정보

[생활] 까마귀에게 제사를? "정월대보름"의 뜻

by by 대문자P 2017. 2. 10.
반응형
 

 
 

1. 개요

 

음력 1월 15일.

설날 이후 처음 맞는 보름날로 상원,혹은 오기일(烏忌日)이라고도 한다. 어찌보면 설날보다 더 성대하게 지냈던 명절로 보통 그 전날인 14일부터 행하는 여러가지 풍습들이 있다. 원래는 설날부터 대보름까지 15일간이 축제일이었으며 이 기간 중에는 빚독촉도 하지 않는다는 말이 있었을 정도로 옛 풍습에서는 큰 축제 기간이었다. 좀 더 옛날에는 정월 대보름 다음날이 실질적인 한 해의 시작으로 여기지 않았을까 하는 설도 있다. 새 학년의 시작은 3월 1일 이지만 3.1절이 있어 3월 2일 부터 본격적인 새학기가 시작 되는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또한 이날이 새배를 드릴수 있는 마지노선이기도 하다.

전통적으로 정월 대보름에는 한해 계획을 세우는게 일반적이었는데 이 한해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한해의 운수를 점치는 풍습들을 행해 왔다. 또한 다양한 놀이와 행사, 음식들을 차려먹었는데 정월 대보름에 행해온 풍습들은 오늘날에도 일부 계승되어 행해지고 있다. 또한 지역별, 마을별로 제사를 지내고 단체로 모여서 행하는 고싸움, 석전 등을 행하기도 했는데 일부 지역의 고싸움은 오늘날까지 보존되고 있다.

현대에 와서는 법정 공휴일로 지정된 명절은 아니지만 설날 이후의 중요한 명절로 간주되고 있다.

 

2. 유래

정월 대보름과 관련된 전설 중에 '사금갑'(射琴匣)이 있다. 원전은 삼국유사 기이 제 1편 소지왕 이야기이다.

---- ----

신라 시대, 임금 소지왕이 정월 대보름에 천천정으로 행차하기 위해 궁을 나섰는데, 갑자기 까마귀와 쥐가 시끄럽게 울었다. 그리고는 쥐가 사람의 말로 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옵소서."

그러자 임금은 신하를 시켜 까마귀를 따라가게 했다. 신하가 까마귀를 어느 정도 따라가다가 어느 연못에 다다랐을 때 두 마리의 돼지가 싸움을 하고 있었다. 신하는 돼지 싸움을 보다가 그만 까마귀를 놓쳐 버렸다. 조금 있으니까 연못에서 노인이 나와서 신하에게 편지봉투를 주고는 "그 봉투 안의 글을 읽으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요, 읽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입니다."라고 말하고는 사라졌다.

신하가 궁에 돌아와 임금에게 편지봉투를 주면서 연못 노인의 말을 전했다. 임금은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단 한 사람이 죽는 게 낫다고 생각해서 편지를 읽지 않으려 했는데 옆에 있던 일관이 말하기를

"전하, 두 사람이라 함은 보통 사람을 말하고, 한 사람이라 함은 전하를 말하는 것이니, 편지의 글을 읽으시옵소서."

일관의 말이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 임금은 편지의 글을 읽어 보았다. 그 편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었다.

'射琴匣(사금갑; 거문고 갑을 쏘시오)'

임금은 곧 거문고 갑을 활로 쏘았다. 그리고 거문고 갑을 열어보니 두 사람이 활에 맞아 죽어 있었다. 이 두 사람은 왕비와 어떤 중이었는데, 중이 왕비와 한통속이 되어[1] 임금을 해치려 했던 것이었다.

그로부터 정월 대보름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을 준비해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생겼다고 한다

---- ----

 
3. 풍습
 
15일 전 연휴로 존재하는 설날과는 달리 휴일이 아니기에 인지하지 못하지만 정월 대보름만큼 전통 풍습이 근래까지 이어져 온 명절은 흔치 않다. 일단 아침에 기상을 하면서 부터 부럼깨기 및 귀밝이술 마시기를 시작하며 여러 지방단체 주최 행사들이 연이어 열린다. 대보름 자정에 이르러서는 달집태우기 및 쥐불놀이를 이어하며 풍년을 비는 행사를 끝으로 대보름을 마무리 짓는다.
 
 
3. 음식
 
부럼 : 설날 아침에 떡국을 먹음으로서 나이를 먹는다면 정월 대보름에는 아침 일찍 부럼을 깨물어먹는 관습이 있다. 이를 '부럼깨기'라고 하는데 부럼을 깨물면서 부스럼이 나지 않도록 비는 관습이 여전히 남아있는 것이다. 실제로 견과류는 불포화 지방산이 많고 영양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건강에 좋으며, 적은 양으로도 높은 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는 견과류를 먹음으로서 건강을 챙길 수 있었기에 이러한 관습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오곡밥 (찰밥) : 찹쌀, 팥, 수수, 조, 검은 콩을 섞은 잡곡밥. 왜 굳이 오곡밥인가 하면 과거 가을 추수 때 가장 잘 자라던 곡식들을 모아 한 밥 공기에 담으니 다섯 가지의 곡식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일반 쌀이 아닌 찹쌀을 쓰기 때문에 밥물을 일반 밥을 할 때 보다 적은 양을 넣어야 밥이 맛있어 진다. 
 
  • 팥죽 : 정월 대보름에도 팥죽은 먹는다. 동지 때와 유사하게 악귀를 쫒아내고자 먹는 것이며 오곡밥을 만들 때 있는 팥과 병행해서 만들 수도 있다.

  • 약식 : 약식의 유래는 상술한 전설에서 나왔다. 찹쌀을 찐 후에 여러 종류의 견과류를 넣어 다시 찌면 완성된다.

     

  • 기타

    대보름 다음날인 음력 1월 16일은 '귀신날'이라고 하여 이날 집 밖을 나가면 귀신이 들러 붙는다고 해서 외출을 피하고 집에서 지내는 날이라고 한다. 이에 대해 설날-대보름 동안 신나게 놀고 나서 하루 정도 조용히 지낸 뒤 생업에 종사하기 위함이 아닌가 하는 해석도 있다.

    이 날에는 집에서 키우는 에게 밥을 주지 않는다고 한다. 이날 밥을 주면 개의 몸에 벌레가 꼬이고 쇠약해진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잘 먹지 못한 채 지내는 모습을 뜻하는 '개 보름 쇠듯 한다'란 속담도 있다.




  • 반응형